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Big Theta
- 일차변환
- nontrivial solution
- trivial solution
- 코틀린 시작하기
- 배열 섞기
- homogeneous linear system
- 이진 탐색
- python
- 빅오메가
- Big Omega
- itertools
- recursive algorithms
- Big-Oh notation
- 코틀린 Hello World!
- Big-Oh 예제
- NumPy
- one-to-one
- 랜덤 순서 배열
- matrix fo a linear transformation
- solutions of matrix equation
- linear dependence
- 알고리즘 분석의 실례
- 빅오 표기법
- 빅세타
- matrix-vector product
- 재귀함수
- Big-O 예제
- matrix trnasformations
- nonhomogeneous linear system
Archives
- Today
- Total
코딩 연습
mathjax 혹은 katex - 수식 번호 매기기 본문
반응형
수식 번호를 매길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적어주면 된다. 예를 들어, 근의 공식에 수식 번호를 매긴다면
\dfrac{-b \pm \sqrt{b^2-4ac}}{2a} \label{a}\tag{1}
실제로 이것으로 수식을 표현하면
$$\dfrac{-b \pm \sqrt{b^2-4ac}}{2a} \label{a}\tag{1}$$
와 같이 나타난다. 이때 label은 수식의 이름 정도로 생각하면 되고, tag는 어떤 식으로 수식번호를 붙일 것인가로 이해하면 되겠다. 이것을 이용하여 참조하려고 하면 \ref 다음에 중괄호 열고 {a} 처럼 수식의 라벨을 적어주면 된다. (잘 모르겠으면 아래 (1)에서 오른쪽 클릭을 한 후, Show math as - Tex commands 를 선택하면 tex code가 보일 것이다.)
$$ 근의 \; 공식 \; ( \ref{a} ) \; 을 \; 참조$$
위의 (1)을 클릭하면 (1) 번 수식이 화면의 맨 위쪽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제 수식을 포함하는 긴 글을 쓸 때, 수식 번호를 매겨가며 참조할 수 있게 되었다.
반응형
'잡다한 것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rch 계열 리눅스에서 add/remove software 설치하기 (0) | 2021.07.13 |
---|---|
Emacs (GUI) 에서 한글입력하기 (0) | 2021.06.21 |
mathjax 혹은 katex - 호(arc) 나타내기 (0) | 2020.12.14 |
mathjax 혹은 katex - 조건제시법 세로 막대(?) 길게 하기 (0) | 2020.12.14 |
mathjax 혹은 katex- 괄호 크게 하기 (0) | 2020.12.14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