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Big Omega
- itertools
- linear dependence
- Big Theta
- 빅오메가
- 알고리즘 분석의 실례
- nonhomogeneous linear system
- 이진 탐색
- 빅세타
- matrix-vector product
- matrix fo a linear transformation
- 코틀린 Hello World!
- trivial solution
- 재귀함수
- nontrivial solution
- matrix trnasformations
- recursive algorithms
- Big-Oh notation
- 코틀린 시작하기
- Big-O 예제
- one-to-one
- 빅오 표기법
- python
- NumPy
- homogeneous linear system
- 일차변환
- solutions of matrix equation
- 랜덤 순서 배열
- Big-Oh 예제
- 배열 섞기
- Today
- Total
코딩 연습
프로젝트 오일러 120번 본문
Let \(r\) be the remainder when \((a-1)^n +(a+1)^n\) is divided by \(a^2\).
For example, if \(a=7\) and \(n=3\), then \(r=42: \; 6^3 +8^3 = 728 \equiv 42 \; \rm mod\; 49\). And as \(n\) varies, so too will \(r\), but for \(a=7\) it turns out that \(r_{\rm max} =42\).
For \(3 \le a \le 1000\), find \(\sum r_{\rm max}\).
\((a-1)^n + (a+1)^n\) 을 \(a^2\)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\(r\) 라고 하자.
예를 들어, \(a=7\) 이고 \(n=3\) 이면 \(r\) 은 \(6^3 + 8^3\) 을 \(7^2\) 으로 나눈 나머지 \(42\) 가 된다. 만약 \(a=7\) 일 때, \(n\)이 자연수 범위에서 변한다면 \(r\) 의 최댓값 \(r_{\rm max} = 42\) 가 된다.
\(\sum \limits_{a=3}^{1000} r_{\rm max}\) 를 구하시오.
이 문제는 도대체 \(n\) 을 얼마까지 계산해봐야 나머지의 최댓값을 구할수 있겠는가를 알면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. 물론 \(n\) 을 충분히 큰 수까지 변화시키면서 계산하면 답이 나오기는 하는데,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. (\(n\) 을 1에서 2000까지 변화시키면서 계산했더니 답이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.)
그렇다면 \(n\) 의 최댓값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겠는가?
\((a-1)^n\) 이나 \((a+1)^n\) 을 각각 \(a^2\) 으로 나누게 되면 그 나머지들은 주기를 가지고 순환하게 된다. 예를 들어, 문제에서 보여줬던 \(a=7\) 인 경우를 본다면 \(6^n\) 을 \(49\) 로 나눈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14개를 주기로 순환한다. \[6, \; 36, \; 20, \; 22, \; 34, \; 8,\; 48,\; 43,\; 13, \; 29,\; 27, \; 15, \; 41, \; 42\]
또한 \(8^n\) 을 \(49\) 로 나눈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7개를 주기로 순환한다.
\[8, \; 15,\; 22,\; 29,\; 36,\; 43,\; 1\]
따라서 이들의 주기인 \(14\) 와 \(7\) 의 최소공배수 14가 우리가 살펴봐야 할 범위가 되는 것이다. 즉, \(n\) 을 1부터 14까지만 변화시키면서 나머지의 최댓값을 구해내면 된다는 것이다.
이런식으로 접근해도 답이 나올 때까지는 수초 정도가 소요되게 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두 번째 방법은 이항정리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풀이 법이다.
이항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전개되는 것을 알 수 있다.
\[\begin{split} (a-1)^n &= {_n}{\rm C}_0 a^n (-1)^0 + {_n}{\rm C}_1 a^{n-1}(-1)^1 + \cdots + {_n}{\rm C}_{n-1} a^1 (-1)^{n-1} + {_n}{\rm C}_n a^0 (-1)^n \\ (a+1)^n &= {_n}{\rm C}_0 a^n 1^0 + {_n}{\rm C}_1 a^{n-1} 1^1 + \cdots + {_n}{\rm C}_{n-1} a^1 1^{n-1} + {_n}{\rm C}_n a^0 1^n \end{split}\]
위 두 식을 변변 더해주면
\[(a-1)^n + (a+1)^n = 2 {_n}{\rm C}_0 a^n + 2{_n}{\rm C}_2 a^{n-2} + 2{_n}{\rm C}_4 a^{n-4} + \cdots \]
'project euler with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젝트 오일러 122번 (0) | 2016.03.15 |
---|---|
프로젝트 오일러 121번 (0) | 2016.03.15 |
프로젝트 오일러 118번 (0) | 2016.03.15 |
프로젝트 오일러 117번 (0) | 2016.03.15 |
프로젝트 오일러 116번 (0) | 2016.03.15 |